728x90
반응형
조금 전 이야기이긴 한데.. 포트포워딩을 통해서 외부에서 내부IP로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작업을 했었다.
톰캣이나 디비같은 건 뭐 설정 되어 있는 포트(8080이나 5432)로 들어왔는데
실제 해당 PC로 원격을 붙으려고 하니 포트를 써 줘야
하는데 가만 생각해보니 로컬PC의 포트번호를 모르겠던 것이었다. 그래서 조금 알아보니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았다면 기본 포트값은 3389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외부IP:3389로 원격요청을 하니 제대로 되었다.
해당 포트는 기본적으로 쓰이는 거라 가능하면
자신만 아는 포트 번호로 변경하는 것이 좋단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그것도 정리해보겠다.
728x90
반응형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Vue 인스턴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던 현상.. ( 제대로 확인을 하도록 하자.. ) (0) | 2022.11.12 |
---|---|
[일상] 리눅스 서버 계정과 권한에 대한 이야기 (0) | 2022.11.07 |
[잡담] 프린터 포트포워딩 보안에 대한 이야기 ( 9100번 포트를 허용해도 되는가) (0) | 2022.08.31 |
[잡담] javascript로 css속성을 주는 걸 피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내 생각 (1) | 2022.07.10 |
[일상] Connection timeout에 대한 이야기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