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에 프로젝트를 하면서 서버에 한글폰트를 설치할 일이 있어서 잠깐 root 계정으로 접속하여 폰트를 설치했다.
근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는데, 기존에는 centos계정을 이용해서 서버를 돌렸었는데 깜빡하고 root 계정인 채로
서버를 돌린 것..
문제는 그렇게 되면 서버 프로세스의 소유자(?)가 root를 잡고 있기 때문에, 로그나 임시파일들의 권한이
root로 잡히게 된다.
위 그림처럼 되는데 기존에는 centos로 서버를 구동시켜서 centos에 맞게 개발환경을 잡아놓았었기 때문에
root로 권한이 바뀐 폴더/파일들에 대한 접근이 안되서 에러를 마구 뱉어내었다..
이랬을때 centos로 계정을 전환한 뒤 다시 서버를 구동한다고 해도 이미 root로 권한이 잡혀 있기 때문에
하나하나 다 찾아가면서 chown명령어를 이용해서 하나하나 권한을 다 바꿔줘야 한다..
결론 : 아무 계정이나 이용해서 서버를 구동하지 말도록 하자..
728x90
반응형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담] 이벤트버스와 mitt라이브러리, Vuex에 대한 잡담 (0) | 2022.12.30 |
---|---|
[일상] Vue 인스턴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던 현상.. ( 제대로 확인을 하도록 하자.. ) (0) | 2022.11.12 |
[일상] 로컬 PC 기본 포트번호에 대한 이야기 (0) | 2022.10.06 |
[잡담] 프린터 포트포워딩 보안에 대한 이야기 ( 9100번 포트를 허용해도 되는가) (0) | 2022.08.31 |
[잡담] javascript로 css속성을 주는 걸 피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내 생각 (1) | 2022.07.10 |